영축산속에 자리한 통도사는 신라 선덕여왕 15년(646) 자장율사가 당나라에서
부처님의 가사와 사리를 받아가지고 귀국하여 창건하였다 하며,
해인사, 송광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사찰중의 하나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20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)
통도사 정문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14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02)
통도사 입구 보행길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22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03)
천왕문-사천왕이 모셔진 문,사천왕이란 천상계의 가장 낮은 부분인
사천왕천의 동서남북의 네 지역을 관장하는 신들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20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04)
사천왕-사천왕은 제석천왕의 명을 받아 인간세상을 두루 살피며
악을 벌하고 정법을 지키는 신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31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05)
불이란 일법진리를 뜻하는 말로써 절로 들어가는 제3의 문이다.
고려 충렬왕 31년(1305)에 처음 창건하였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4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06)
부도원-스님들의 사리를 모시는 곳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22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07)
극락전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18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08)
관음전-대자대비를 근본서원으로 중생의 고난을 구제해주는
관세음보살을 모신 법당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1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09)
범종각-조선 숙종 12년(1686)에 창건하였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24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10)
대웅전 앞 5층 석탑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23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11)
통도사 경내 전경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26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12)
대광명전-부처님의 법신불인 비로자나불을 모신
통도사 현존건물중 가장 오래된 곳,약 600여년전 고려말기에 세워진 법당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34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13)
대웅전- 통도사 주법당으로 불상이 모셔지지 않은 것이 특색이다.
건물의 구조양식이 특이하여 보물 144호로 지정되어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5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14)
용화전-다음세상에 출현하실 미륵불을 모신 법당이며,
그 앞에 보물 제 471호 봉발탑과 불교의 실천수행법인
삼십칠조도품을 새긴 석주가 서 있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15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15)
사리탑-금강계단이라고 한다. 계를 수여하는 의식이 행해지는 장소로
통도사 창건의 근본정신은 바로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한 금강계단에 있다.
신라 선덕여왕 15년(646) 자장율사가 당나라 오대산에 가서
문수보살로부터 받은 석가여래의 사리를 봉안한 곳이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afefile/pds26/16_w_f_114H6_1f5G_000_00_00000004_16)
석가여래 사리부도 석종-금강계단 사리탑의 맨 중앙을 점유한
석가여래 사리부도로 종모양을 갖춘 통도사 창건시의 원형이다.
|